Skip to main content
게임

도시전설 해체센터

정진명

서지정보

게임명: 도시전설 해체센터
개발사: Hakababunko(墓場文庫)
배급사: SHUEISHA GAMES
출시일: 2025년 2월 13일
장르: 레일 수사

생각

『도시전설 해체센터』는 동명의 사립탐정조직의 조사원이 된 주인공이 도시전설과 연결된 여러 사건을 수사해나가는 선형 추리 게임입니다.

저는 PS2시절 진구지 사부로를 해보고 헤메다가 『역전재판』을 해 보고 매료된 사람입니다. 헤멜 일이 없고, 다른 경로로 빠질 일이 없는 류의 플레이를 제 나름대로 레일 수사라는 장르로 부르고 있습니다. 레일 슈터처럼 말이죠. 역전재판 프랜차이즈와 단간론파 프랜차이즈가 신작을 안 내놓은지 정말 오랜 시간이 흘렀고… 시장에는 꽤 괜찮은 레일 수사 게임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태퍼 케이스』도 매력있는 작품이었지요.

『도시전설 해체센터』는 도시전설, 괴담, SNS, 소문, 관심에 혈안이 되고 관심 때문에 죽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적극적으로 게임에 활용하였습니다. 도트로 표현된 그래픽은 귀여움과 기호로서의 캐릭터, 공포를 자극하는 요소 사이를 절묘하게 오가며 만족스러운 경험을 줍니다.

반면 게임 라이팅에 대해서는 조금 불만족스러운 부분들이 있는데, 오브젝트를 조사하는 선택지의 다수가 '살펴본다' '자세히 본다' '제대로 확인한다' 같은 식이라 어떤 선택지가 어떤 행동에서 이어졌는지 파악하기 어렵고, 결국 읽지 않음 인디케이터가 뜬 선택지를 고르고 넘어가는 행동(사실 이게 레일 수사 게임의 본질이라 생각합니다만)으로 환원되게 됩니다. 장면과 장면 간의 트랜지션은 납득이 가지 않는/설명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많고 대사창에서 어느 타이밍에 대사가 끊어지고 이어지는지도 부자연스러워 보이는 부분이 있습니다.

로컬라이제이션은 등장인물의 이름, 지역의 명칭 등을 모두 한국스럽게 번안했는데, 이건 일본쪽에서 한국 웹툰 로컬라이즈할 때 무대를 일본으로 바꾸는 영향인가…. 익숙하지는 않지만, 싫지는 않습니다. 화장실의 하나코를 두고 "일본 귀신을 왜 한국에서 부른담."같은 대사가 나올 때는 이게 맞나 싶긴 한데요.

게임 내에서 큰 비중으로 등장하는 SNS 부분의 번역은 꽤 그럴듯한데, 단 한 가지, "주작"을 표준어처럼 쓰는 건 조금 용납이 안 됩니다. SNS에서 누가 주작이라고 쓰는 걸 묘사할 수는 있다고 생각하지만, 주인공들이 그걸 보고 "정말 주작일까요?"라고 한다거나 게임 내에서도 '주작'이라는 표기가 반복되는 걸 계속 보고 있기는 어렵습니다.